레이블이 철강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철강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10월 28일 화요일

📉 포스코홀딩스 3분기 실적 분석: 철강·2차전지 선방에도 '인프라 손실'에 주춤, 내년 반등 기대

포스코홀딩스 실적

 

입력: 2025.10.27.

포스코홀딩스가 2025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주력인 철강 부문과 미래 성장 동력인 2차전지소재 부문이 선전하며 전 분기 대비 회복세를 이어갔지만, 인프라 부문의 대규모 일회성 손실 반영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전체 이익은 감소하며 '주춤'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 3분기 실적 요약 (연결 기준)

구분2025년 3분기 실적전년 동기 대비전 분기 대비
매출액17조 2,610억 원▼ 5.8%-
영업이익6,390억 원▼ 13.5%▲ 5.3%
영업이익률3.7%▼ 0.4%p-

👉 핵심: 전년 대비 이익은 감소했으나, 올해 들어 3개 분기 연속 이익 회복세를 이어가며 바닥을 다지는 모습입니다.


🟢 부문별 실적: 웃은 사업과 운 사업

사업 부문주요 내용실적 영향
철강사업설비 효율화, 원가 절감, 제품 믹스 개선 등으로 견조한 흐름 유지. 해외 법인 이익 7배 증가.긍정적 (영업이익 전 분기 대비 증가)
2차전지소재양극재 판매량 증가 및 리튬 가격 상승에 따른 재고 평가손실 환입으로 적자폭 축소.긍정적 (포스코퓨처엠 영업이익 3배 이상 증가)
인프라 (포스코이앤씨)신안산선 사고 손실 추정액 및 해외 프로젝트 손실 반영 등으로 일회성 비용 대거 발생.부정적 (영업손실 910억원, 적자 전환)
인프라 (포스코인터내셔널)발전사업 및 호주 세넥스 가스전 판매 호조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이익 감소.혼재 (전체 이익 감소)

📌 [주요 변수] 포스코이앤씨는 3분기에 약 2,881억 원의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었으며, 4분기에도 약 2,300억 원의 추가 비용 반영이 예상됩니다. 다만 회사는 **"올해 대부분의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 내년부터는 정상적인 흑자 수준으로 회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2026년 이후 전망 및 전략

1. 내년 실적 반등 기대

  • 철강 수요 회복: 내년 세계 철강 수요는 인도, 동남아 등 신흥시장 중심으로 1~2% 성장 예상. 미국 및 유럽 수요도 회복 기대.

  • 수익성 개선: 반덤핑 관세 부과에 따른 시장 질서 정상화와 지속적인 원가 효율화 노력으로 내년 철강 사업 이익은 올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

2. 구조조정 및 투자 계획

  • 자산 구조조정: 올 3분기 베트남 석탄화력발전소 등 저수익·비핵심 자산 7건을 매각해 약 4,000억 원의 현금을 창출.

  • 향후 계획: 2027년까지 63건의 추가 구조개편을 통해 1조 2,000억 원의 현금 추가 창출 목표.

  • 투자 우선순위:

    • 최우선: 수소환원제철 등 탈탄소 관련 환경 투자.

    • 철강: 인도, 미국, 인도네시아, 호주 등 성장 지역 중심의 해외 진출.

    • 2차전지소재: 기존 투자 안정화 속에서 원가 경쟁력 확보 및 우량 자원 인수, 유망 산업 M&A 기회 검토.

3. HMM 인수 관련

  • "초기 검토 단계이며 인수 참여 여부는 결정된 바 없다"는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며 추가적인 변화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태그 #포스코홀딩스 #3분기실적 #철강 #2차전지소재 #포스코퓨처엠 #인프라손실 #포스코이앤씨 #실적분석 #HMM인수 #구조조정 #철강수요회복 #탈탄소 #POSCO #주식분석

2025년 9월 10일 수요일

9월 10일 주식시장 특징 테마 분석: 급등한 섹터와 그 배경은?


오늘 주식 시장은 다양한 테마들이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특히 정책 변화, 국제 정세, 기술 혁신 등 다양한 이슈들이 특정 섹터를 끌어올리는 원동력이 되었는데요. 9월 10일 시장을 뜨겁게 달군 주요 특징 테마들을 심층 분석해 드립니다.



1. 반도체 관련주: 오라클발(發) 클라우드 성장 모멘텀 🚀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Oracle)**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클라우드 사업 성장 전망을 발표하면서,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폭등했습니다. 이는 인공지능(AI) 서버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가 확인되었음을 의미하며, 국내 반도체 관련주들의 동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HBM(고대역폭메모리)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면서 관련 종목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 주요 관련주:

    • SK하이닉스(000660)

    • 삼성전자(005930)

    • 한미반도체(042700)

    • DB하이텍(000990)

    • 원익IPS(240810)


2. 금융주 & 지주사: 주식 양도세 완화 기대감

정부가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현행 50억 원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금융주지주사 테마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통해 최종 입장을 밝힐 예정이라는 소식에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주요 관련주:

    • KB금융(105560)

    • 키움증권(039490)

    • 하나금융지주(086790)

    • 한국금융지주(071050)

    • 한진중공업홀딩스(003480)


3. 로봇 & 스마트팩토리: '노란봉투법' 시행 수혜 전망 🤖

'노란봉투법'의 내년 3월 시행 소식이 전해지면서, 기업들이 노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로봇 등 자동화 설비 시스템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었습니다. 또한, 미국의 반(反)이민자 정책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 현상도 로봇 산업 성장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 주요 관련주:

    • 휴림로봇(090710)

    • 현대무벡스(319400)

    • 코닉오토메이션(396490)

    •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 코윈테크(282880)


4. 제약/바이오: 금리 인하 기대감과 정책 지원

구조적으로 자금 조달 비용이 높은 제약/바이오 업종은 금리 인하 국면에서 강한 주가 흐름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여기에 정부가 150조 원 규모로 확대하는 **'국민성장펀드'**에 바이오 산업이 포함되면서 투자 심리가 더욱 개선되었습니다.



  • 주요 관련주:

    • 삼천당제약(000250)

    • 툴젠(199800)

    • 큐라클(365270)

    • 일동제약(249420)

    • 지투지바이오(456160)


5. 철강 & 조선기자재: 정책적 수혜와 조선업 모멘텀

기획재정부가 일본 및 중국산 열연강판에 대한 잠정 덤핑 방지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산 철강재 수요 증가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동시에 한미 조선업 협력 '마스가(MASGA)'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며 조선기자재 관련주들도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 철강 관련주:

    • 동양에스텍(060380)

    • 동국제강(001230)

    • 현대제철(004450)

    • 대호특수강(021040)

    • 문배철강(008420)

  • 조선기자재 관련주:

    • 삼영엠텍(054540)

    • 케이프(064820)

    • 세진중공업(075580)

    • 일승(333430)

    • 태광(023160)


6. 주요 하락 테마: 아이폰 관련주 📉

반면, 애플의 신제품 공개 행사에서 아이폰 17 시리즈에 대한 시장의 기대에 못 미치는 혁신 부재 평가가 나오면서, 일부 아이폰 관련주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능이 강화되지 않았다는 점이 실망 매물을 이끌었습니다.

  • 주요 관련주:

    • LG이노텍(011070)

    • LG디스플레이(034220)

    • 덕우전자(263690)

    • 삼성SDI(006400)

    • 아이티엠반도체(084850)

이처럼 오늘 시장은 정책과 기술, 그리고 대외 이슈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특정 섹터가 강한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앞으로의 시장 흐름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징 테마들의 배경을 꾸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 다른 테마에 대한 분석을 원하시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2025년 7월 3일 목요일

POSCO홀딩스 다시 올라 갈까? : POSCO홀딩스(005490) 기업 분석 종합(최신정보)

 POSCO홀딩스(005490) 기업 분석 종합

POSCO홀딩스(005490)


1. 산업 및 2차전지 사업 분석

  • 주요 산업: 포스코홀딩스는 철강, 인프라(무역, 건설, 물류), 에너지소재, 신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해 있으며, 2022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해 그룹의 성장 전략 수립과 미래 사업 테마 발굴, M&A 등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2차전지 소재 사업: 포스코홀딩스는 2차전지 핵심 소재(양극재, 음극재) 생산을 주도하는 포스코퓨처엠 등 자회사를 통해 글로벌 밸류체인 구축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 9,226억 원을 2차전지소재 계열사(포스코퓨처엠,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에 출자하며, 북미·유럽·중국 등 글로벌 거점 확대와 리튬·니켈 등 원재료 내재화, 리사이클링 사업에도 적극적입니다.

  • 협력 확대: SK이노베이션과의 협력으로 원재료부터 완제품까지 수직계열화된 밸류체인 경쟁력을 강화 중입니다.


2. 기본적(펀더멘털) 분석

항목수치 (2025년 7월 기준)비고
시가총액약 20조 원업종 1위
PER14~19배업종 평균 21.9배72
PBR0.33~0.36저평가 구간
배당수익률2.4~3.8%안정적 배당 정책
ROE약 2%업종 평균 상회
영업이익률2.99%업종 평균 0.6%
부채비율68%재무 안정성 양호
  • 매출 구조: 철강 비중은 점차 줄고, 친환경·2차전지 소재 분야 매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재무 안정성은 과거와 유사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 주주 구성: 국민연금(8.46%), 자사주(6.56%), 외국인 보유비중 29% 등 기관 및 외국인 비중이 높음.

POSCO홀딩스 일봉차트


3. 기술적 분석 및 차트

  • 최근 주가 흐름: 2025년 6월 중순~7월 초까지 245,500원 → 312,000원으로 약 27% 급등. 7월 2일 종가는 312,000원, 거래량도 크게 증가.

  • 기술적 신호:

    • 단기(5일) 이동평균선은 매도, 10~200일 이동평균선은 모두 매수 신호.

    • RSI(14), Stochastic 등 주요 오실레이터는 과매수(Overbought) 상태로 단기적으로는 조정 가능성도 내포.

    • 전체적으로는 "적극 매수" 신호가 우세하지만, 단기 급등에 따른 변동성 주의 필요.

  • 차트 참고:

포스코홀딩스 주가 및 거래량 추이 (2025년 6월 12일~7월 2일)
포스코홀딩스 주가 및 거래량 추이 (2025년 6월 12일~7월 2일)


4. 최신 뉴스 및 이슈

  • 관세 및 정책 이슈: 미국의 철강 관세 완화, 상법 개정안 통과 등 정책 호재에 힘입어 최근 주가가 급등.

  • 2차전지 소재 투자 확대: 2025년 5월 대규모 자회사 증자 및 북미 진출 가속화, 글로벌 밸류체인 구축이 주요 뉴스.

  • 시장 환경: 전기차 시장의 일시적 둔화에도 불구, 에너지 전환·저장 시스템 수요 증가와 차세대 배터리 개발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


5. 특징 및 경쟁력

  • 사업 포트폴리오: 철강, 2차전지 소재, 리튬·니켈 등 원자재,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등 7대 핵심사업 중심의 ‘2Core+New Engine’ 전략 추진.

  • 지속가능 경영: 친환경·ESG 경영, 자사주 소각(3년간 6%), 최소 현금배당 2.3조 원 지급 등 주주가치 제고 정책 적극 실행.

  • 글로벌 Top-Tier 목표: 2030년까지 양·음극재 생산능력 68만 톤, 리튬 22만 톤, 니켈 14만 톤 확보 등 공격적 성장 전략.

POSCO홀딩스 주봉차트


6. 미래 성장성 전망

  • 2차전지 소재: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과 함께 양극재·음극재, 리튬·니켈 등 핵심소재 내재화로 성장성 매우 높음. 북미·유럽 등 현지 생산기지 확대, 리사이클링 사업 강화로 미래 경쟁력 확보.

  • 신사업: 수소, 친환경 에너지, 스마트 인프라 등 미래 신산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와 R&D 강화로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

  • 재무 안정성: 저PBR, 높은 현금흐름, 안정적 배당 등으로 장기 투자 매력도 높음.

7. 투자 전략 및 차트 분석 요약

  • 중장기 관점: 2차전지 소재·친환경 신사업 성장성과 재무 안정성, 저평가 매력(저PBR, 안정적 배당)으로 중장기 우상향 가능성.

  • 단기 관점: 최근 단기 급등(약 30%) 및 기술적 과매수 구간 진입으로 단기 조정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 신규 진입은 분할 매수, 변동성 관리 권장.

  • 기관·외국인 수급: 주가 하락 시 기관 매수세 유입, 추세 전환 시 장기 우상향 기대감8.



결론: 포스코홀딩스는 철강 본업의 안정성과 2차전지 소재·친환경 신사업의 성장성을 동시에 보유한 국내 대표 소재 지주회사로,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의 도약이 기대됩니다. 단기 급등에 따른 변동성 관리와 함께, 중장기 성장성에 주목한 투자 전략이 유효합니다.

🚀 엔비디아, AI 붐 타고 기업 가치 5조 달러 돌파! 최초의 위업 달성 💰

  ✨ 핵심 요약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붐에 힘입어 시가총액 5조 달러를 돌파한 최초의 기업 으로 등극했습니다! 🤯 원래 틈새 시장의 비디오 게임 프로세서 기업이었던 엔비디아는 이제 AI 혁명의 핵심 주자로 자리매김하며 놀라운 성장을 보여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