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국내 증시는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한 구체적인 기대감이 커지면서 조선, 자동차, 원자력 관련주가 강세를 보인 반면, 최근 급등했던 반도체와 로봇주는 숨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 코스피 시장 마감 (KOSPI 3,823.84, +0.24%)
코스피는 밤사이 뉴욕 증시의 강세 영향으로 상승 출발했으나, 장중 3,900선 돌파를 앞두고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상승폭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기관의 순매수세가 5거래일 연속 상승을 이끌며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 주요 상승 동력
한미 관세 협상 기대감: 10월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3,500억 달러 투자 / 미국 관세 25% 15% 인하' 및 '한국의 우라늄 농축/핵연료 재처리 허용' 등의 내용이 합의문에 담길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며 관련주가 급등했습니다.
기관 순매수: 기관이 2,116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하단을 지지했습니다.
특정 업종 강세:
자동차: 현대차, 기아 등이 한미 협상 기대감에 상승.
원자력: 한전기술, 한전산업 등 원자력 허용 기대감에 급등.
조선: HD현대중공업(+9.96%), 한화오션(+6.16%) 등 3분기 호실적 전망 및 방산 협력 기대감에 초강세.
📉 주요 하락 요인 및 섹터
차익 실현: 최근 급등했던 반도체(삼성전자 -0.61%, SK하이닉스 -1.34%) 및 **증권주(미래에셋증권 -4.95% 등)**에 대규모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지수 상승을 제한했습니다.
수급: 외국인(2거래일 연속)과 개인(5거래일 연속)이 순매도했습니다.
환율: 원/달러 환율이 7.0원 상승한 1,427.8원을 기록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 코스닥 시장 마감 (KOSDAQ 872.50, -0.37%)
코스닥 지수는 상승 출발 후 곧바로 하락 전환하며 약세 마감했습니다.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차익실현 매물의 영향이 컸으며, 특히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 코스닥 하락 주도 섹터
반도체: 테스(-6.88%), 이오테크닉스(-4.98%) 등 고점 부담에 하락.
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3.96%), 에브리봇(-6.92%) 등 로봇 관련주도 일제히 약세.
제약/바이오 일부: 에스티팜(-10.22%), 파마리서치(-5.81%) 등이 하락.
🚀 코스닥 상승 특징주
HLB 그룹주: HLB 간암신약(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의 임상 결과가 세계적 학술지 '란셋'에 게재되며 HLB(+11.17%) 등 그룹주 급등.
나노신소재: CNT 도전재 시장 고성장 및 2026년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달성 전망에 급등 (+11.54%).
🎯 10월 21일 코스피/코스닥 시장 특징 종목 정리
2025년 10월 21일 국내 증시에서 두드러진 움직임을 보인 코스피 및 코스닥 시장의 주요 특징 종목을 상승/하락 이슈와 함께 정리했습니다.
1. 🌟 코스피 시장 특징 종목 (KOSPI)
| 종목명 (코드) | 등락률 (%) | 주요 상승/하락 이슈 |
| SJG세종 (033530) | +17.20 | 세계 최초 '습도센서 없는 수소감지센서' 개발 및 양산 착수 (현대차 수소차/버스 적용 예정). |
| 인스코비 (006490) | +10.40 | 美 자회사 아피메즈, 글로벌 투자자로부터 합병 및 투자 제안 등 관심 집중 소식. |
| 한전기술 (052690) | +10.19 | 2H25(하반기) 신한울 3·4호기 설계 매출 재개 등 실적 호조 전망 및 체코 원전 기대감. |
| HD현대중공업 (329180) | +9.96 | 美 최대 방산 조선 그룹 헌팅턴 잉걸스와 첨단 조선 기술 협력 심화 및 그룹 구조 개편 기대감. |
| SK바이오팜 (326030) | +4.49 | 중남미 제약사 유로파마와 AI 기반 뇌전증 관리 플랫폼 JV(멘티스 케어) 설립 소식. |
| 광동제약 (009290) | +4.07 | 250억 원 규모 교환사채(EB) 발행 결정 공시 속 자금 확보 기대감. |
| 두산 (000150) | +3.74 | 자회사 두산로보틱스 지분 담보로 최대 8,000억 원 규모 PRS 방식 자금 조달 추진 소식. |
| 한국항공우주 (047810) | +3.08 | LG전자와 '차세대 항공 시뮬레이터 영상시스템' 공동 개발 MOU 체결. |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161390) | +2.57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및 배당성향 확대 기대감 (35% 목표). |
| 한화시스템 (272210) | +1.90 | 내년 L-SAM(장거리 지대공 유도탄) 수출 기대감 및 K2 전차용 APS 레이더 성장성 부각. |
| 카카오 그룹주 (카카오 등) | 상승 | 김범수 창업자, 'SM 주가조작' 혐의 1심 무죄 선고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 기대. |
| 삼양식품 (003230) | -4.42 |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전망 (밀양 2공장 Ramp-up에도 원주/익산 공장 생산량 감소 추정). |
| 부광약품 (003000) | -2.33 | 25년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69.20% 감소하는 등 부진한 실적 발표. |
2. ✨ 코스닥 시장 특징 종목 (KOSDAQ)
| 종목명 (코드) | 등락률 (%) | 주요 상승/하락 이슈 |
| 동일기연 (032960) | +30.00 | 47억 원 규모 자사주 소각 목적 취득 결정 공시에 따른 주주가치 제고 기대감으로 상한가. |
| 넥스트칩 (396270) | +29.98 | 유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 발생 (기준가격 2,585원). |
| 씨피시스템 (413630) | +29.89 | 로봇 케이블 보호 시스템 '로보웨이'의 글로벌 완성차 제조라인 공급 확대 지속 소식에 상한가. |
| 한스바이오메드 (042520) | +16.74 | ECM 제품 포트폴리오 '셀르디엠'의 국내외(일본, 중국) 글로벌 확장 기대감 및 저평가 분석. |
| 와이바이오로직스 (338840) | +12.87 | 세계 최초 삼중 융합 항암제 플랫폼 '멀티앱카인' 개발 및 글로벌 기술이전 확대 리레이팅 기대감. |
| HLB (028300) | +11.17 | 간암신약(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의 임상 효과가 세계적 의학 학술지 '란셋'에 게재 소식. |
| 나노신소재 (121600) | +11.54 | CNT 도전재 매출 고성장 전망 (2026년 1,000억 원 돌파 예상) 및 실적 기대감. |
| 엑시온그룹 (069920) | +9.38 | 삼성중공업과 406억 원 규모 공사 계약 체결 (최근 매출액 대비 842.5%). |
| 에스오에스랩 (464080) | +2.46 | 글로벌 주요 로봇 및 반도체 장비 기업에 대규모 라이다 프로토타입 물량 공급 완료. |
| 하이딥 (365590) | -25.15 | 결손금 보전 및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80% 비율 감자 결정 공시로 급락. |
| 비투엔 (307870) | -5.53 | 69억 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운영자금 확보 목적) 소식에 하락. |
| 애드바이오텍 (179530) | -4.43 | 9.9억 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운영자금 확보 목적) 소식에 하락. |
#코스피특징주 #코스닥특징주 #장마감분석 #오늘의주식 #수소차관련주 #조선주 #AI바이오 #HLB그룹주 #CNT도전재 #자사주소각 #권리락

-%EC%9D%BC(20251021173724).jpg)
-%EC%9D%BC(2025102117373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