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설계(IP)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설계(IP)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7월 2일 수요일

SK하이닉스는 HBM4 이상의 버전에서 베이스 다이를 자체 생산할 수 있을까?

 SK하이닉스가 HBM4 이상의 버전에서 베이스 다이(로직 다이) 기술을 TSMC 이외의 다른 파운드리 기업에 맡기거나, 자체 생산할 수 있는지에 대해 최근 산업 동향과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BM4 베이스 다이


1. HBM4 베이스 다이 생산 구조의 변화


  • HBM3E까지: SK하이닉스는 베이스 다이를 자체 공정으로 직접 생산해왔습니다.

  • HBM4부터: 초미세 공정(3nm, 5nm 등)의 필요성과 고성능·저전력 요구가 커지면서, TSMC와 협력해 베이스 다이를 생산하는 전략으로 전환했습니다. 

  • SK하이닉스는 TSMC의 3nm, 12nm 등 다양한 파운드리 공정을 활용해 맞춤형·범용 베이스 다이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TSMC


2. TSMC 외 다른 파운드리로의 전환 가능성



  • 기술적 가능성:

    • 베이스 다이 설계는 SK하이닉스가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 설계를 TSMC 외의 다른 파운드리(예: 삼성전자, 인텔 파운드리 등)에 제공해 생산을 맡길 기술적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 실제로 삼성전자도 HBM4 베이스 다이 생산에 4nm 공정을 적용할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고객 요구나 공급망 안정성, 가격 경쟁력, 기술 수준 등에 따라 삼성 파운드리 등으로 생산처를 다변화할 여지는 있습니다.

  • 시장 및 전략적 고려:

    • 현재 TSMC가 3nm 등 초미세 공정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수율과 신뢰성을 갖추고 있어, SK하이닉스가 TSMC를 우선 선택한 것입니다.

    • 다만, 삼성 파운드리의 공정 경쟁력 향상, 공급망 다변화 필요성, 고객사(예: 엔비디아, AMD 등)의 요구에 따라 향후 생산 파트너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


3. 자체 생산(인하우스) 가능성



  • 기술적 한계:

    • HBM4에서 요구하는 3nm, 5nm급 초미세 로직 공정은 막대한 투자와 노하우, EUV(극자외선) 장비 등 첨단 인프라가 필요합니다.

    • SK하이닉스는 메모리(DRAM) 공정에는 세계 최고지만, 로직(시스템 반도체) 초미세 공정에서는 TSMC나 삼성전자와 같은 파운드리 기업만큼의 역량과 인프라를 갖추지 못했습니다.

  • 현실적 판단:

    • 당분간은 TSMC(또는 향후 삼성 파운드리 등)와의 협업을 통해 베이스 다이를 조달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 중장기적으로 자체 로직 파운드리 역량을 강화한다면 가능성이 열리지만, 단기간 내 자체 생산 전환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4. 외부 기업에 기술 제공 가능성


  • 설계(IP) 자체를 제3의 파운드리(삼성, 인텔 등)에 제공해 생산을 맡기는 것은 가능합니다.

  • 그러나, SK하이닉스가 베이스 다이 기술을 경쟁 메모리 기업(삼성, 마이크론 등)에 직접 이전하거나 판매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 고객사(엔비디아 등)의 요청, 공급망 다변화, 파운드리 경쟁력 등에 따라 파운드리 파트너를 선택하는 구조가 될 것입니다.


결론


  • SK하이닉스는 HBM4부터 TSMC의 첨단 파운드리 공정에 의존하고 있지만, 기술적으로는 삼성 파운드리 등 다른 업체로 생산처를 다변화할 여지가 있습니다.

  • 초미세 로직 공정의 자체 생산은 당분간 어렵고, 파운드리 기업과의 협업이 필수적입니다.

  • 베이스 다이 설계(IP)는 SK하이닉스가 보유하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파운드리와 협력해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HBM4 이후에도 공급망 다변화와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단, 구체적인 파운드리 전환 시점이나 자체 생산 계획은 공식적으로 발표된 바 없습니다.)




한일 스테이블코인 맞교환 송금테스트 및 국내 스테이블코인 시장 현황과 관련주

  1. 한일 스테이블코인 맞교환 송금 테스트 개요 **프로젝트 팍스(Project Pax)**를 통해 한국과 일본 간 스테이블코인 기반 국경 간 송금 실증 테스트가 2025년 초 진행됨. 서로 다른 블록체인의 한·일 스테이블코인을 맞교환(스왑)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