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미중무역갈등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미중무역갈등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 뉴욕 증시 마감 시황: 미-중 무역 갈등 격화 속 변동성 장세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다시 한번 증시를 뒤흔들면서,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들은 하루 종일 극심한 변동성을 보인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특히 장 막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비난 발언이 나오면서 S&P 500 지수는 결국 하락 마감했습니다.


📉 주요 지수 동향 (종가 기준)

지수종가등락률주요 내용
S&P 500 하락하루 종일 최대 하락, 최고 상승 등 급등락. 트럼프 발언에 하락 마감.
나스닥 종합 하락장중 최대 하락하기도 함. 기술주 전반에 하락 압력.
다우존스 산업평균 상승장중 거의 상승 후 소폭 상승 마감. 개장 직후 하락 출발.

💡 시장을 움직인 주요 이슈

1. 미-중 무역 긴장 격화 (최대 변동성 요인)

  • 하락 출발 배경: 중국이 한국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5곳에 제재를 가하며 세계 해운 통제력 강화 시도. 이는 불안정한 세계 무역 환경에 기름을 부으며 증시를 하락 출발시켰습니다.

  • 관세 위협 지속: 미국 무역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위협한 추가 관세가 11월 1일에 발효될 가능성이 있으며, 중국의 다음 조치에 따라 더 빨리 시행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장 막판 급락: 주요 지수가 오전 하락분을 만회하고 S&P 500이 상승 전환했던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Truth Social을 통해 중국이 미국산 콩 구매를 중단한 것을 **"경제적으로 적대적인 행위"**라고 비난하며 식용유 금수 조치 등의 "보복"을 고려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 이 발언이 S&P 500을 하락 마감으로 이끌었습니다.

2. 긍정적인 실적 발표 시즌

  • 금융주 선전: 실적 발표 시즌의 강세는 시장의 펀더멘털이 여전히 강하다는 신호를 제공했습니다.

    • 시티그룹():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 발표로 상승.

    • 웰스파고():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 발표로 상승.

    • JP모건, 골드만삭스: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에도 소폭 하락 마감.

  • 기술주 압력: 엔비디아를 비롯한 기술주들은 여전히 하락 압력을 받았습니다.

3. 연준 파월 의장의 발언

  •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중앙은행이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양적 긴축'**을 중단할 시점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시사했습니다. 이는 은행 시스템에 "충분한" 준비금 목표에 근접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시장 전문가의 시각

롭 호워스 (US 뱅크 웰스 매니지먼트 수석 투자 전략 이사): "무역 긴장과 관련하여 이달 말 중국과 미국 시장의 출구가 어디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며, 시장이 아직 해결하려고 애쓰는 문제입니다. 오늘 아침 금융 부문의 호조와 건전한 소비자 심리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현재 시장 심리를 움직이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 기타 주요 종목 및 지표

  • Cboe 변동성 지수 (VIX): 월가의 '공포 지수'인 VIX는 한때 금요일 종가를 상회했으며, ****로 거래를 마감하며 4개월 만의 최고치인 를 돌파했습니다. 이는 무역 분쟁에 대한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보잉: 지난달 항공기 55대를 인도하며 2018년 이후 최고의 한 해를 향해 순항 중.

  • 노바 미네랄스: 주미 호주 대사가 알래스카 프로젝트와 관련해 접촉했다는 소식에 주가 급등.

  • T-Mobile: RBC Capital Markets이 '섹터 평균 수익률 상회' 등급으로 상향 조정하며 달러 목표가 제시 (약 상승 여력).


#뉴욕증시 #미국증시 #S&P500 #나스닥 #다우존스 #미중무역갈등 #트럼프 #중국 #관세 #실적시즌 #파월 #VIX #기술주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 10월 13일 증시 마감시황: 美中 갈등 재점화 속 코스피 하락, 코스닥 강보합 마감 (2차전지/로봇 강세)

 


📢 10월 13일 증시 마감시황: 美中 갈등 재점화 속 코스피 하락, 코스닥 강보합 마감 (2차전지/로봇 강세)

Ⅰ. 코스피 시장 마감 (KOSPI 3,584.55P, -0.72% 하락)



1. 시장 개요 및 흐름

  • 마감 지수: KOSPI 3,584.55P (전일 대비 -26.05P, -0.72% 하락)

  • 약세 출발: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美中 무역갈등 우려로 급락하면서 코스피는 1.68% 하락한 3,550.08P로 출발.

  • 장중 저점 및 낙폭 축소: 장 초반 3,522.54P(-2.44%)까지 밀리며 저점을 기록했으나,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진정성 발언("중국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 모든 게 잘 될 것")이 나오면서 낙폭을 축소하며 4거래일 만에 하락 마감.

2. 수급 동향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구분순매수/순매도 금액특징
외국인8,223억 순매도6거래일 만에 순매도 전환
기관4,480억 순매도3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1조 1,689억 순매수6거래일 만에 순매수 전환
선물 시장외국인 8,364계약 순매도개인/기관 순매수

3. 주요 하락/상승 요인 및 종목

구분주요 요인하락/상승 종목 (주요 등락률)
하락 요인1) 美中 무역갈등 재점화 (트럼프의 관세 인상 및 APEC 시진핑 회담 취소 언급) 2) 외국인/기관 동반 매도 3) 美 빅테크/반도체주 급락 영향반도체: 삼성전자(-1.17%), SK하이닉스(-3.04%) 인터넷/플랫폼: NAVER(-1.87%), 카카오(-3.70%) 증권주: 한화투자증권(-5.00%), 키움증권(-3.99%) 등 방산주: 한국항공우주(-5.23%), 한화에어로스페이스(-4.70%) 등 (하마스 인질 석방 소식)
상승 요인1) 트럼프 대통령의 완화 발언 (낙폭 축소 기여) 2) 일부 종목의 개별 호재 및 테마 강세희귀금속(희토류): 고려아연(+19.48%, 中 수출 통제 반사 이익 기대), 유니온머티리얼(+29.77%) 2차전지: 포스코퓨처엠(+7.79%), 에코프로머티(+4.87%) 개별 호재: 두산에너빌리티(+4.16%, 美 빅테크 가스터빈 공급계약), LG전자(+2.53%, 3분기 잠정실적 선방)

4. 업종별 등락

  • 하락 우세: **증권(-2.40%)**이 가장 크게 하락. IT 서비스(-1.96%), 전기/전자(-1.41%), 운송장비/부품(-1.38%), 음식료/담배(-1.24%) 등 대부분 업종 하락.

  • 상승 업종: **금속(+5.67%)**이 희토류 테마 강세로 급등. 기계/장비(+2.65%), 오락/문화(+2.21%) 등 상승.


Ⅱ. 코스닥 시장 마감 (KOSDAQ 860.49P, +0.12% 강보합)



1. 시장 개요 및 흐름

  • 마감 지수: KOSDAQ 860.49P (전일 대비 +1.00P, +0.12% 강보합)

  • 변동성: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1.60% 약세 출발 후, 장중 저점(-2.24%)을 기록했으나, 2차전지/로봇 등 주도 테마주의 강세로 낙폭을 급격히 만회하고 강보합 마감.

2. 수급 동향 (개인 순매수)

구분순매수/순매도 금액
개인1,166억 순매수
외국인1,019억 순매도
기관133억 순매도

3. 주요 하락/상승 요인 및 종목

구분주요 요인하락/상승 종목 (주요 등락률)
상승 요인1) 2차전지주 강세: LG에너지솔루션 흑자 소식 및 리튬 테마 부각 2) 로봇주 모멘텀 지속: 휴머노이드 공개 및 대규모 인수 소식 등2차전지: 에코프로비엠(+4.90%), 에코프로(+4.40%) 리튬 테마: 새빗켐(+30.00% 상한가), 포스코엠텍(+16.91%) 로봇주: 우림피티에스(+29.95% 상한가), 케이엔알시스템(+18.91%), 레인보우로보틱스(+4.40%) 반도체: 리노공업(+4.84%), 하나마이크론(+13.96%) 시총 상위: HLB(+6.35%)
하락 요인1) 美中 무역갈등 재점화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 2) 가상화폐 시장 약세가상화폐 테마: 다날(-8.70%), 갤럭시아머니트리(-3.66%) 등 제약/바이오(일부): 펩트론(-4.41%), 알테오젠(-3.69%)

4. 업종별 등락

  • 하락 우세: 일반서비스(-1.89%), 건설(-1.34%), 의료/정밀기기(-1.25%), 통신(-1.21%) 등 하락.

  • 상승 업종: 기타제조(+2.72%)를 필두로, 전기/전자(+1.74%), 화학(+1.49%), 금융(+1.44%), 오락/문화(+1.30%) 등 상승.


#증시마감 #코스피 #코스닥 #주식시장분석 #美中무역갈등 #외국인매도 #개인순매수 #2차전지강세 #로봇테마 #희토류관련주 #KOSPI #KOSDAQ

🚀 엔비디아, AI 붐 타고 기업 가치 5조 달러 돌파! 최초의 위업 달성 💰

  ✨ 핵심 요약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붐에 힘입어 시가총액 5조 달러를 돌파한 최초의 기업 으로 등극했습니다! 🤯 원래 틈새 시장의 비디오 게임 프로세서 기업이었던 엔비디아는 이제 AI 혁명의 핵심 주자로 자리매김하며 놀라운 성장을 보여주고 ...